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30평대 아파트 전기세 요금 줄이는 방법

by 이상가 2025. 3. 26.
반응형

아파트로 이사온지 2달이 되었다.



며칠 전 2월달 관리비 고지서를 받고 남편과 깜짝 놀랐다.
아파트 관리비가 많이 나온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,
37만원이 넘은 것이다.
이 금액엔 가스비는 포함되지도 않았고 ㅜㅜ
 
그리고 고정비만 15만원 정도라는 것에 깜짝 놀랐다.
 
'그래.. 예전 오피스텔 살 때도 전기세, 수도세 뺀 고정비가 10만원 정도였지...'
그런데, 빌라에 살면서 다 잊어버렸었다.
 
빌라는 관리비가 없으니까 ㅜㅜ
계단은 좀 지저분하고 1층 현관문도 깨끗하지 않았으나
그래도 관리비를 내지 않아서 좋았었다.
 


한 달에 15만원이면 1년에 180만원이니... ㅜㅜ
 
남편과 나는 집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며 관리비를 어떻게 하면 줄일까 궁리했다.
월패드에 전기세 그래프도 유심히 보고...
급기야 관리실에 전화를 했다.
아무리 생각해도 이렇게 전기세가 많이 나올 일인가? 싶어서...
 
다른 세대도 비슷하게 나오거나 더 많이 나온 곳도 있단다. 
하하하~
우리집 계량기가 고장난 게 아니구나...

 
 
인터넷으로 전기세 줄이는 방법을 찾아 봤다.
우리 집엔 냉장고, 김치냉장고, 식기세척기, 세탁기, 건조기, 음식물쓰레기처리기, 로봇청소기, 청소기 등이 있고
이 중에 전기를 많이 쓰는 녀석이 누군지 생각해 보았다.
그리고 나온 결론!

식기세척기 온풍 60분에서 40분으로 바꿈


전기세를 아끼려면???
1. 세탁할 때 냉수로 하기
2. 건조기 자주 돌리지 않기
정도???
세탁할 때 온수로 하면 더 깨끗해진다고 알고 있었는데, 냉수로 해도 된단다. ㅋ
겨울에 빨래가 얼 것 같은데;;; 봄이 오니 일단 찬물로 돌려 봐야겠다.
 


아이가 둘이나 있어서 건조기도 1~2일에 한 번 씩 돌리는데, 뽀송한 수건은 양보할 수 없고 나머지는 섬세로 30분 정도만 돌리고 널어야겠다.
 
관리실에서 3월에도 비슷하게 나오실 것 같은데요?
라고 해서 머리가 핑 돌았다.
4월엔 좀 더 악착같이 아껴보기로!!!
 
 

반응형